메뉴

"한 템포 쉬어가기" 한은, 기준금리 연 2.50% 동결 결정



[IE 경제] 이달 한국은행(한은)이 기준금리를 기존 2.50%로 동결했다. 이는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한 수출 둔화, 가계부채 관리와 같은 대내외적 요인에 맞춰 숨고르기를 한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2.50%로 정했다. 한은은 지난달 금통위에서 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한 바 있다.

 

이번 인하는 업계 예상과 일치한 결정이다. 국내 채권 전문가들은 이달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점쳤었다. 지난 8일 금융투자협회(금투협)가 내놓은 보도자료를 보면 기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에게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 93%가 동결를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금투협 관계자는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있지만, 부동산 시장 불안정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혼재해 7월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이들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금통위 결정은 수도권 주택시장 과열과 가계대출 증가와 같은 금융 안정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말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주택매매가격은 지난 2023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16.1% 뛰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6조2000억 원 뛰며 10달 만에 최대 폭을 기록하며 정부가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 정책을 내놨다.

 

키움증권 안예하 연구원은 "7월 기준금리 동결 이후 부동산 정책에 대한 효과를 지켜보며 한은이 추가 인하 시점을 판가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환율

 

▲환율하락(달러 약세·원화 강세)→경상수지 악화(수출 감소·수입 증가)→성장률 저하→안전자산 선호 증가→채권수요 증가→금리하락(채권가격 상승)

 

◇물가

 

▲통화량 증가(수출 증가·정부지출 확대) 또는 원자재가격 상승→물가상승→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대→금리상승(채권가격 하락)

 

◇원유 등 원자재

 

▲원자재가격 상승→생산자물가 상승→소비자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대→금리상승(채권가격 하락)

 

◇경기

 

▲경기호조→소득 증가→소비 증가→투자 증가→금리 상승(채권가격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