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금융] 반도체 제조용 기계 제조업체인 코스닥 상장사 디이엔티(079810)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올 하반기 두 번째 의무 계약 공시를 했다. 올해 세 차례 의무 계약 공시 중 이달에만 두 건이다. 디이엔티는 주고객사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완성차 업체 혼다 합작법인인 엘에이치 배터리 컴퍼니(L-H Battery Company Incorporate Co.,Ltd)와 2차전지 제조장비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15일 공시로 알렸다. 계약금액은 741억5700만 원(5373만2837달러로 수주일자 최초 매매기준율 달러당 1380.10원 적용)으로 최근 매출액 1273억5400만 원의 58.2% 수준이며 계약기간은 수주일인 지난 13일부터 오는 2026년 3월15일까지다. 이런 가운데 디이엔티는 공시일 오후 3시25분 현재 코스닥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160원(1.56%) 오른 1만41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편 디이엔티는 지난 11일에도 이 업체와 동종 계약을 맺었다. 당시 계약금액은 132억4400만 원으로 계약기간은 수주일인 이달 11일부터 내달 10일까지다. 두 차례 계약 모두 공급 물품은 레이저 노칭(Notching) 장비로 레이저를 이용해
[IE 금융] IBK투자증권이 창립 이후 처음 1000억 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성공했다. 15일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이 증권사는 지난 11일 '아이비케이투자증권 제1회 사모 채권형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발행 규모는 1000억 원, 금리는 5.7%이며 만기일은 오는 2054년 7월11일(30년) 또는 5년 경과 후 콜옵션이 부여됐다. 인수에는 보험사와 연기금을 비롯한 총 5개 기관이 참여했다. 신종자본증권은 회계 기준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자본성 증권으로 자본 적정성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BK투자증권은 이번 발행으로 순자본비율이 기존 479%에서 약 550%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을 위한 자기자본 직접투자(PI)와 신성장동력 발굴에 더 나선다는 게 이 증권사의 설명이다. +플러스 생활정보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없거나 통상 30년 이상으로 길어 채권의 성격을 지닌 자본성 증권. 회계상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인정돼 자금을 끌어오면서도 재무 지표를 개선하는 효과가 존재. 또 변제 순위가 후순위채보다 낮아 위험부담이 큰 만큼 금리도 높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인기.
[IE 금융] 국내 중소형 증권사인 한양증권(001750)이 매물로 나온다는 소식에 15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이 증권사의 주가가 요동치고 있다. 이날 한양증권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최대주주인 한양학원이 지분 매각을 추진 중"이라며 "매각 대상자와 매각 금액, 매각 방식과 일정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되거나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 12일 한국거래소가 한양증권에 조회요구를 한데 따른 공시다. 자기자본 기준 한양증권은 국내 30위권 증권사로 기업금융(IB) 및 채권 부문에 강점을 지녔다. 이 증권사의 지난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462만9475만 원, 351억417만 원을 기록했다. 한양증권의 최대주주는 한양학원으로 지난 1분기 기준 16.29%의 주식을 보유 중이다. 여기에 백남관광, 에이치비디씨와 같은 특수관계인 지분율까지 포함하면 40.99%다. 한양학원은 계열 건설사인 한양산업개발의 유동성 불안으로 증권사 매각을 결정했다는 게 업계 시선이다. 한양산업개발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파동으로 작년 496억1900만 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또 한양학원 산하 한양대병원 역시 의료 파업 탓에 경영난에 파진
[IE 금융] 최근 3년간 7~8월 여름 휴가철 교통사고가 평상시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금융감독원(금감원)에 따르면 여름철 자동차사고는 월평균 33만2000건으로 평상시보다 1만9000건(6.0%) 증가했다. 동승객 증가와 같은 이유로 자동차사고에 따른 부상자·사망자수도 각각 2623명(1.8%), 4명(2.5%) 늘었다. 여름철 렌터카사고도 월평균 6786건으로 평상시보다 470건(7.4%) 많이 발생했다. 특히 운전경력이 상대적은 짧은 30세 미만 운전자 사고 18.0%로 뛰었다. 긴급출동 서비스(배터리충전 제외) 이용 건수는 여름철 75만5000건으로 평상시보다 6만4000건(9.3%) 많아졌다. 이 기간 자동차사고와 관련성이 높은 비상구난·긴급견인도 34만3000건으로 평상시 대비 5만5000건(19.3%)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 외에도 여름철 자동차사고(차대차) 중 분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3대 유형을 보면 ▲선행 진로변경 ▲신호등 없는 교차로 ▲좌우동시 차로변경 등이다. 이에 금감원은 "여름 휴가철 장거리 이동에 따른 교대 운전시에도 안심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운전자 범위 등을 확대해 주는 특약을 활용해야 한다"며 "또
[IE 금융] 보험료를 카드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되는 가운데 이번 국회에 이와 관련한 법안이 통과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보험료 납부방식은 보험사가 정할 수 있지만, 카드수수료를 이유로 신용카드를 허용하지 않는 보험사가 대다수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카드는 이달 10일 DB손해보험(DB손보)과 기업중대사고배상책임을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는 플랫폼 '우리카드 보온'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에서 우리카드로 보험료를 내면 최대 2% 할인된다. 그간 중대사고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할 때 필요한 서류를 제출한 뒤에야 보험료를 알 수 있었지만, 이 플렛폼에서는 실시간으로 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다. 지난달 롯데카드는 라이나생명, 메리츠화재와 보험료를 월 최대 2만5000원까지 할인하는 '보험엔로카' 2종의 신용카드를 출시했다. 이 카드로 두 보험사 보험료를 매달 자동이체할 경우 지난달 이용실적에 따라 할인 혜택을 선사한다. 이 외에도 삼성생명은 삼성카드에 한해 일부 상품의 보험료를 낼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대다수 보험사는 이를 허용하지 않는다. 보험사는 대형 가맹점을 분류돼 소비자가 신용카드 결제 시 약 2% 초반의 수수료를 내
[IE 금융]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K-ICS)이 전 분기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여력비율은 자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낮을 수록 보험금을 지급할 여력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11일 금융감독원(금감원)이 발표한 '3월 말 기준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현황'에 따르면 1분기 경과조치 적용 후 보험사 지급여력비율은 223.6%로 전 분기(232.2%) 대비 8.6%포인트(p) 하락했다. 경과조치는 킥스비율 도입으로 지급여력비율이 떨어질 것을 감안해 일정 기간 신규위험액 측정을 단계적으로 유예한 조치다. 업권별로 보면 생명보험사는 222.8%, 손해보험사는 224.7%로 전 분기 대비 각각 10.0%p, 6.7%p 떨어졌다. 이는 운영리스크 강화와 같은 요구자본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 가용자본은 증가했지만 상대적으로 필요한 비용이 컸다는 것을 뜻한다. 3월 말 경과조치 후 K-ICS 요구자본은 117조2000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4조6000억 원 증가했다. 주식 위험과 같은 시장리스크가 1조9000억 원 증가했을 뿐더러, 기초가정위험액 시행에 따라 운영리스크가 2조4000억 원 늘었다. 이에 비해 가용자본은 262조2000억 원으로 전 분기보다
[IE 산업] 삼성전자가 10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4(Galaxy Unpacked 2024)' 행사를 통해 갤럭시 Z 시리즈 신제품인 '갤럭시 Z 폴드6와 'Z 플립6' 및 웨어러블 기기 '갤럭시 링' '갤럭시 워치7' '갤럭시 워치 울트라' 공개. 이번에 공개한 갤럭시 Z 폴드6와 갤럭시 Z 플립6는 다재다능한 폼팩터와 한 단계 진화된 갤럭시 인공지능(AI)을 통해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 이 두 제품 모두 디자인은 더 날렵해졌으며 역대 Z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무게 및 편안한 휴대성을 갖췄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 또 새 갤럭시 Z 시리즈에는 퀄컴의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3세대 모바일 플랫폼(Snapdragon® 8 Gen 3 Mobile Platform for Galaxy)'이 탑재. 이 칩셋은 고성능 CPU, GPU,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결합해 AI 프로세싱 최적화. 이날 같이 공개된 갤럭시 웨어러블 제품들은 갤럭시 AI를 통해 디지털 헬스 경험을 한 단계 높였으며 삼성전자의 기술력이 집약된 첨단 센서를 탑재해 보다 정확하고 깊이 있는 디지털 헬스 경험 선사. ◇갤럭시
[IE 산업] 삼성전자가 10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4(Galaxy Unpacked 2024)' 행사를 통해 갤럭시 Z 시리즈 신제품인 '갤럭시 Z 폴드6와 'Z 플립6' 및 웨어러블 기기 '갤럭시 링' '갤럭시 워치7' '갤럭시 워치 울트라' 공개. 이번에 공개한 갤럭시 Z 폴드6와 갤럭시 Z 플립6는 다재다능한 폼팩터와 한 단계 진화된 갤럭시 인공지능(AI)을 통해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 이 두 제품 모두 디자인은 더 날렵해졌으며 역대 Z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무게 및 편안한 휴대성을 갖췄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 또 새 갤럭시 Z 시리즈에는 퀄컴의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3세대 모바일 플랫폼(Snapdragon® 8 Gen 3 Mobile Platform for Galaxy)'이 탑재. 이 칩셋은 고성능 CPU, GPU,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결합해 AI 프로세싱 최적화. 이날 같이 공개된 갤럭시 웨어러블 제품들은 갤럭시 AI를 통해 디지털 헬스 경험을 한 단계 높였으며 삼성전자의 기술력이 집약된 첨단 센서를 탑재해 보다 정확하고 깊이 있는 디지털 헬스 경험 선사. ◇'수면
[IE 산업] 일부 캔하이볼 한 캔 열량이 쌀밥 한 공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소비자시민모임에 따르면 시중에서 판매하는 캔하이볼 25개 제품 열량과 당류 함량을 공인시험기관에 의뢰해 검사한 결과 캔하이볼 25개의 평균 열량은 252㎉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8개의 한 캔 열량이 쌀밥 한 공기(292㎉)보다 높았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주류의 경우 당류를 줄여도 알코올로 열량이 발생해 '제로 슈거'로 표시한 3종 또한 155~225㎉의 열량이 확인됐다"며 "제로 슈거 표시 제품도 과도하게 마시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검사 결과 하이볼 한 캔 평균 당류 함량은 17.5g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권고량(50g) 대비 35% 수준으로 나타났다. 제품별 당류 함량은 0.0~40.7g였다. 이 외에도 소비자시민모임은 25개 제품 중 열량 등 영양표시 제품은 5종이며 1개 제품은 실제 당류 측정값이 표시량보다 470% 많았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시민모임 측은 "캔하이볼의 과도한 섭취 자제를 당부하는 한편 주류 제품 열량·당류 확인이 어려워 표시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IE 산업] LG전자 프리미엄 가전을 구매하는 고객 10명 가운데 3명 이상이 구독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LG전자에 따르면 지난달 LG 베스트샵에서 판매된 LG전자 주요 제품의 구독 비중은 36.2%였다. 이는 총 23종의 구독 가능한 제품 중 구독이 대부분인 정수기, 최근 구독 제품으로 추가된 가정용 환기 시스템과 클로이 로봇을 제외한 20종을 대상으로 조사한 수치다. LG전자는 제품(HW) 중심 사업에 구독, 콘텐츠, 서비스 등 무형(Non-HW) 영역을 결합하는 사업모델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결과 LG전자의 지난해 연간 구독 매출은 1조1341억 원으로 대형가전 구독을 본격화한 지 2년 만에 '유니콘 사업'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올해 상반기는 지난해 동기보다 성장세가 더 빨라져 연말에는 연간 최대 구독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는 게 이 회사의 설명이다. LG전자 가전 구독의 인기 비결은 고객이 전문가에게 제품을 정기적으로 관리받으며 사용하고 구독 기간을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 또 고객은 케어 매니저의 정기 방문을 통해 청소, 성능 점검, 필터 등 소모품 교체까지 제품을 관리받을 수 있으며 가전 구독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