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우리나라가 내년 상반기 중 '슈퍼컴퓨터 세계 Top 10' 진입을 목표로, 국가 슈퍼컴 6호기 구축 본격 돌입.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가 14일 내놓은 '국가 슈퍼컴 6호기, 세계 최고 수준의 슈퍼컴 제조사 ㈜휴렛팩커드 유한회사(HPE사)와 구축 계약'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보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HPE사는 지난 12일 3825억 원 규모의 계약 체결.
5년간 유지보수비 780억 원을 포함해 여섯 차례 입찰 끝에 이룬 계약으로 이 슈퍼컴은 엔비디아(NVIDA)의 'GH200' 등 최신 고성능 GPU(그래픽 처리장치) 8496장 탑재, 600PF(페타플롭스)급 연산성능, 205PB(페타바이트) 저장공간, 400Gbps(초당 기가비트) 이상의 초고속 네트워크 성능 보유.
슈퍼컴 전용 네트워크 자체 기술이 있는 HPE사는 작년 11월 발표한 세계 슈퍼컴퓨터 톱(Top)500 중 세계 1위 엘 캐피탄(미국, 2.7EF), 2위 프론티어(미국, 2.0EF), 5위 HPC6(이탈리아, 607PF)를 포함해 106개 슈퍼컴을 명단에 올리는 등 초대형 시스템 구축 경험이 풍부하다는 게 과기부 원천기술과의 설명.
또 현재 공공 부문은 공동 활용 가능한 고성능 GPU 인프라가 매우 부족해 연구자들이 고가 GPU를 개별 구매하거나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 비용 문제와 연구 데이터 유출 우려도 있다는 제언.
6호기 구축의 목적은 대규모 고정밀 과학·공학 계산 및 초거대 AI 분야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국가 플래그십 초고성능컴퓨팅 서비스' 제공에 기인한 국가 연구개발 생산성 제고.
한편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가 목표로 삼은 연산 성능은 5호기 '누리온'보다 23배 이상 향상된 수치. 1, 2호기는 각각 2GF(기가플롭스)와 16GF, 3호기 4.3TF(테라플롭스), 4호기 324TF, 5호기는 25.7PF.
아울러 누리온은 CPU 중심 구조였으나 6호기는 AI 및 대규모 병렬 계산에 최적화. 6호기의 저장공간은 누리온의 33.88PB와 비교해 6배 앞선 수치로 HD(High Definition)급 고해상도 영화 한 편이 약 3GB라면 6800만 편가량 저장 가능.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1페타플롭스(PetaFlops)는 1초당 1000조 번 연산하는 성능. 600PF의 경우 1초에 60경 번 연산 가능.
GH200 인공지능(AI) 슈퍼칩은 기존 이 업체의 호퍼(H100) 아키텍처에 ARM 기반 CPU(그레이스)를 합친 형태로, 데이터 처리 효율을 극대화한 AI 및 고성능 연산용 제품. 지난 2024년부터 본격 공급돼 여러 고성능 컴퓨팅 작업에 사용 중. 아키텍처(Architecture)는 복잡한 시스템을 동작원리에 맞춰 적절히 구조화하는 청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