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오늘(18일)부터 일회용 커피 캡슐을 우체통에 넣으면 회수가 되는 시스템이 운영된다. 최근 커피 캡슐 시장이 커지면서 버려지는 폐기물이 증가하자 우정사업본부가 전국 우체국망을 통한 분리배출에 나선 것.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우체국망을 통한 커피캡슐 회수사업이 전국에서 이뤄진다. 이를 위해 지난 7월 환경부와 우정사업본부, 동서식품은 이 같은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국내 캡슐커피 시장 규모는 현재 4000억 원 이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을 기점으로 시장이 네 배 이상 확대됐다. 그러나 체계적인 재활용 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아 환경 문제로 대두됐다.
우체통 회수 방법은 간단하다. 동서식품 '카누' 캡슐커피 구매자는 캡슐을 사용한 다음 오프너(캡슐 리사이클러)로 커피 박(찌꺼기)을 분리해 알루미늄 캡슐만 우편 전용 회수 봉투에 담아 우체통에 넣으면 된다. 이는 집배원이 회수해 재활용업체로 배달하고 업체는 이를 재활용 소재로 활용할 방침이다.
우편 전용 회수 봉투와 오프너는 동서식품에서 제작해 전국 총괄우체국을 통해 배부되며 동서식품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서도 신청할 수 있다. 전국 우체통 위치는 회수 봉투에 인쇄된 QR 코드, 인터넷우체국을 통해 찾으면 된다.
우정사업본부는 주요 해외 커피캡슐 업체들과도 커피캡슐 회수 사업 참여를 논의 중이다. 또 이 외 다른 물품에 대해서도 우체국 물류시스템을 통한 재활용 체계 구축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우정사업본부는 캡슐 회수 사업에 앞서 지난 2022년부터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도 시행 중. 올해 전국으로 확대 시행된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를 통해 올해 1~7월 폐의약품 2만4952건이 우체통을 통해 회수. 지난해 동안 1만6557건이 회수된 것에 급증한 수치인데, 이대로라면 연말 회수율은 전년 대비 150%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