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슈코체크] 3분기도 최대 실적 메리츠금융, MG손보 인수에는 '묵묵부답'


 


[IE 금융] 메리츠금융지주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이 1조9835억 원을 시현한 가운데 화두로 떠오른 MG손해보험(MG손보) 인수에 대해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만큼 기다려 달라"며 말을 아꼈다.

 

13일 메리츠금융에 따르면 이 지주사의 올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 이익을 경신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4조6935억 원, 영업이익은 2조6779억 원을 기록했다. 총자산은 112조 원,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업계 최고 수준인 26.8%다.

 

메리츠금융의 보험 계열사인 메리츠화재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1조4928억 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15.2% 증가하며 종전 최대 이익 기록을 넘어섰다.

 

이번 실적 발표 후 진행된 컨퍼런스 콜에서도 MG손보 인수 건에 대한 질문은 어김없이 등장했다. 네 번째 매각마저 실패한 MG손보는 수의계약을 통해 입찰이 진행될 예정인데 유력한 인수자로 메리츠화재가 부상했기 때문.

 

수의계약은 경매나 입찰과 같은 경쟁계약이 아닌, 적당한 대상을 임의로 선택해 계약을 맺는 방식이다. 단독 계약인 만큼 공정성이 떨어질뿐더러, 비리가 발생할 소지가 커 공공기관은 일반경쟁계약을 원칙으로 한다.

 

이와 관련해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메리츠금융 김용범 회장은 "MG손보 관련해서는 매각 절차 진행 중이어서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다"며 "답답하겠지만 기다려 주면 지체없이 공시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2분기 IR에서 말한 것처럼 주주 이익과 주주 환원에 만족할 경우 진행하고 아닐 시에는 중단할 것"이라며 "MG손보를 포함해서 국내외 여러 회사를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여기 더해 "인수에는 톱다운 방식(거시적으로 분석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때 사용하는 방식)과 바텀업 방식(세부적인 분석에서 출발해 시장 전반적인 흐름에 맞춰 인수를 검토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 지주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기 위해 두 방식을 모두 사용하며 여러 방면에서 살피고 있다"고 언급했다.

 

현재 업계에서는 충분한 자본력과 보험업에 이해도가 높은 메리츠화재가 선택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 중이다. 그러나 MG손보 노동조합(노조)이 메리츠화재 인수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를 외치고 있을뿐더러 뒤늦은 IBK기업은행 등장이 변수로 떠올랐다.

 

MG손보의 매각을 맡은 예금보험공사(예보)는 지난달 30일 우선협상대상자를 발표하기로 했지만, 최근 국정감사(국감)에서 이와 관련한 다양한 비판을 검토하면서 일정을 미뤘다. 

 

지난달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서 MG손보 인수에 관심을 두고 있는 데일리파트너스가 IBK기업은행을 전략적투자자(SI)로 확보한 만큼, 이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당시 기업은행 김형일 전무는 "부실금융기관 정리를 통해 시장 안정에 역할을 할 수 있는 만큼 한번 논의하겠다"고 답했지만, 이달 초 이 은행은 참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그러나 이 같은 기업은행의 방향을 다시 국회에서 선회했다. 전날인 12일 더불어민주당 신장식 의원은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기업은행이) 언론 보도를 통해 (MG손보 SI 참여에 대해) 검토하지 않는다고 입장을 번복했다"면서 "이에 지난 4일 기업은행이 예보, 의원실과 미팅한 결과 재검토하겠다고 얘기했다"고 말한 것.

 

이와 관련해 기업은행 관계자는 "신 의원 발언대로 다시 MG손보 인수에 관해 내부에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은 "금융감독원(금감원)이 메리츠화재를 검사한 지 6개월이 지났는데, 검사 결과가 빨리 나와야 이를 근거로 예보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며 "늦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예보와 매각 주관사는 이들의 투자 여력 차이를 주요 포인트로 살필 가능성이 높음. 예보법상 부실 금융사를 인수하길 원하는 회사는 예보에 자금 지원을 신청할 수 있는데, 예보는 4000억~50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이처럼 공적자금 지원은 열려있지만 원매자별 제안 규모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전망. 때문에 인수 희망사들의 가용자금에 따른 공적자금 지원 희망 규모가 우선협상대상자의 관건으로 꼽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