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버거킹이 원자재 가격과 환율 상승 탓에 제반 비용이 증가하자 24일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 이번 가격 조정은 2023년 3월 이후 약 22개월 만만이다. ◇버거킹 와퍼 7100원→7200원…평균 인상률 1.07% 이날 버거킹에 따르면 대표 메뉴 와퍼는 7100원에서 7200원, 갈릭불고기와퍼는 7400원에서 7500원으로 뛴다. 더불어 와퍼 주니어는 4700원에서 4800원, 프렌치프라이는 21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된다. 평균 인상률은 1.07%다. 이번 가격 조정은 지난 2023년 3월 이후 약 22개월 만이다. 버거킹 측은 "글로벌 원자재 가격과 환율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지속돼 불가피하게 가격 조정에 나섰다"며 "현재 원자재 비용 상승을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가격 인상 릴레이 이목…타 브랜드 "아직 계획 無" 현재 원·달러 환율은 1500원에 근접하고 원부자재가·물류비가 훌쩍 뛰면서 다른 버거 프랜차이즈의 가격 인상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작년의 경우 맥도날드가 5월 제품 가격을 평균 2.8% 올리자 8월에 롯데리아가 메뉴 가격을 평균 2.2% 상향했으며 10월에도 맘스터치도 300원씩 올린 바
[IE 산업] 삼성전자서비스가 이번 설 연휴 가운데 4일간 수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2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달 25~30일까지 연휴가 이어지면서 스마트폰의 긴급한 수리가 필요한 고객을 위해 이 같은 서비스를 실시. 설 연휴 첫날인 25일에는 전국 170곳 서비스센터가 모두 문을 열어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휴대폰, 태블릿 등 수리 서비스를 진행. '주말 케어 센터' 9곳의 경우 이날 오후 6시까지, 삼성강남 서비스센터는 오후 7시까지 실시. 주말 케어 센터는 ▲삼성강남(서울) ▲홍대(서울) ▲중동(부천) ▲성남(경기) ▲구성(용인) ▲대전 ▲광산(광주) ▲남대구 ▲동래(부산)에 위치. 26~30일에는 '주말 케어 센터' 9곳에서 사전 예약을 통해 휴대폰, 태블릿, 웨어러블 수리 서비스를 이용 가능. 단, 설 전날인 28일과 설날 29일은 센터 미운영. 주말 케어 센터 방문 예약은 홈페이지 및 컨택센터를 통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예약 가능. 또 연휴기간 '냉장고 냉동, 냉장 안됨'를 포함한 가전제품 점검이 긴급히 필요한 경우 '긴급 출장서비스'도 시행.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삼성전자서비스
[IE 금융]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 HF)가 장기·고정금리·분할상환 주택 담보대출인 '보금자리론' 다음 달 금리를 0.3%포인트(p) 인하. 23일 주금공에 따르면 이번 인하에 따라 '아낌e-보금자리론' 금리는 연 3.65(10년)~3.95%(50년). 저소득청년, 사회적배려층(장애인·한부모 가정 등) 및 전세사기피해자 등이 추가 우대금리(최대 1.0%p)를 적용받을 시 최저 연 2.65(10년)~ 2.95%(50년) 금리가 적용.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금융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과 같은 정책성 대출을 전년도 50~55조 원과 유사한 규모인 50조 원대로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
[IE 금융] 지난해 출범한 우리투자증권이 금융당국에 투자매매업 본인가를 신청, 심사를 받는 중이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우리투자증권은 최근 금융위원회에 투자매매업 본인가를 위한 신청서를 접수했다. 이는 작년 8월 출범한 이후 6개월 만이다. 이 증권사는 한국포스증권과 우리종합금융이 합병하면서 탄생했으며 약 1조2000억 원의 자기자본을 보유한 증권업계 18위 회사다. 투자매매업 인가가 없을 경우 기업공개(IPO), 파생상품 거래와 같은 업무를 할 수 없다. 6개월이 지난 후에야 우리투자증권이 신청을 한 까닭은 금융감독원(금감원)과 난항을 겪었기 때문. 금감원은 우리금융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건으로 검사에 나서면서 대주주 적격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한편, 앞서 남기천 우리투자증권 대표는 출범 기자간담회에서 "10년 내 자기자본 5조 원을 달성해 우리투자증권을 초대형 기업금융(IB)으로 만들겠다"고 제언한 바 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우리투자증권의 작년 3분기 말 기준 누적 순이익은 94억 원. 자산관리계좌(CMA)나 비대면 고객 수, 예수금 등이
[IE 산업] 우리나라 이용자 약 4000만 명의 개인정보를 본인 동의 없이 알리페이를 통해 국외에 넘긴 카카오페이와 애플이 약 84억 원대 과징금을 받았다. 23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는 전날 제2회 전체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법상 국외이전 규정을 위반한 카카오페이에 과징금 59억6800만 원, 애플에 과징금 24억500만 원과 과태료 220만 원을 각각 부과했다고 알렸다. 총 83억7520만 원이다. 이와 함께 애플과 위수탁 관계인 알리페이에 카카오페이 이용자에 대한 NSF(Non Sufficient Funds Score) 점수의 산출 모델을 파기하도록 시정명령했다. NSF 점수는 애플 서비스 내 여러 건의 소액결제를 한 건으로 묶어 일괄청구할 때 자금 부족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고객별 점수를 뜻한다.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우선 카카오페이가 전체 이용자 약 4000만 명의 개인정보를 본인 동의 없이 알리페이에 애플 서비스 이용자 평가 목적으로 제공했다. 또 애플이 제3국 수탁자 알리페이를 통해 개인정보를 국외로 이전해 처리하는 사실을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았다. 애플은 간편결제와 같은 국가별 결제 수단을 하나씩 시스템과 연동하는 부담을 덜기 위해
[IE 산업] 롯데칠성음료의 청주 '백화수복'이 다음 달 말까지 부산 광안리 카페거리에 위치한 '삼진포차'에서 '백화수복 원컵 잔꾸 이벤트'를 진행. 23일 롯데칠성음료에 따르면 '백화수복 원컵 잔꾸 이벤트'는 중장년층에게는 어묵(오뎅)바에서 즐겼던 백화수복 원컵 추억을 되살리고 젊은 세대에게는 백화수복 원컵을 알리기 위해 기획. 이 이벤트는 광안리, 겨울·백화수복·삼진어묵을 표현한 캐릭터 스티커로 나만의 백화수복 원컵을 직접 꾸미는 방식으로 진행. 또 레트로 감성의 손난로를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한정 수량 증정 행사도 진행. 지난 1945년에 출시한 백화수복은 100% 국산 쌀 외피를 30% 정도 도정 한 다음 저온 발효 공법과 숙성 방법으로 만들어졌으며 알코올 도수 13도의 청주 제품. 제품명은 '오래 살면서 길이 복을 누리라'는 뜻이며 차례주 시장점유율 부동의 1위. 지난 2023년 8월부터 업사이클링으로 양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와 같은 부산을 제품 포장용 상자 원료로 사용 중. 이는 한국환경포장진흥원 주관 '그린 패키징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기도. 이 가운데 지난 1984년 180ml 용량으로 선보인 백화수복 원컵은 한 번에 마시기 편하다는 반응
[IE 금융] 메리츠화재가 올해 자동차보험료를 1% 인하. 22일 메리츠화재는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기조에 맞춰 4년 연속 차보험료를 내리기로 했다"고 설명. 이번 인하는 오는 3월 중순 책임개시되는 계약부터 적용될 예정. 회사 측은 "이번 보험료 인하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주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제언. 이 외 타 손해보험사(손보사) 역시 올해 자동차보험료를 0.5~1% 내릴 것으로 보임. 작년 12월 기준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 등 대형 손보사 네 곳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 93.0%로 전년 같은 달 대비 7.5%포인트(p) 상승. 이는 폭설과 통행량 증가가 원인. 이들 보험사의 작년 한 해 손해율은 83.3%로 전년 대비 3.5%p 증가했는데, 메리츠화재의 경우 82.6%. 적정인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0~82% 이하로 이 수준을 넘어가면 적자. 대형사의 경우 82%, 중소형사는 80%. 한편, 손보업계는 2021년, 2022년, 2023년 영업이익을 각각 3981억 원, 4780억 원, 5539억 원 기록, 보험료를 1.2~1.4%, 2.0~2.1%, 2.5~2.8%씩 내림. /
자산운용사들이 해외주식형 토털 리턴(TR) ETF(상장지수펀드)에서 TR 명칭을 삭제, 분기 배당을 지급하는 프라이스 리턴(PR) 상품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우리나라 증시에 상장된 해외 TR ETF는 5개인데요. 이 가운데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S&P500 TR과 'KODEX 미국나스닥100TR' 비중은 90%에 가깝습니다. 이 외에도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S&P500TR' 'TIGER 미국나스닥100TR', 신한자산운용의 'SOL 미국배당다우존스TR' 등이 있고요. 업계 1위 삼성자산운용은 전날 홈페이지에 'Kodex 미국S&P500 TR'과 'Kodex 미국나스닥100 TR' 이름을 오는 24일부터 'Kodex 미국S&P500' 및 'Kodex 미국나스닥100'으로 바꾼다고 공지했는데요. 또 매년 1월, 4월 7월, 10월 말 분기 배당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상품 내용이 변경되더라도 이 상품 투자자들은 별도 조치를 할 필요가 없고 자동으로 분배금을 분기마다 받으면 됩니다. 업계 2위 미래에셋자산운용도 정책 변경에 따라 이날 자사에서 운용 중인 TR ETF 상품의 분배금 이벤트
[IE 산업]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배달업체 배달의민족(배민) 중개 수수요율이 현행 9.8%에서 2~7.8%로 인하된다. 22일 우아한형제들에 따르면 배민은 다음 달 26일부터 상생 요금제를 도입한다. 이는 작년 배달플랫폼 상생협의체에서 업주들의 경제적인 부담 완화와 수익 구조 개선을 지원하고자 타결한 상생안에 따른 것. 우선 상생 요금제는 '배민1플러스'를 이용하는 업주를 대상이며 매출 규모에 따라 네 개 구간으로 나눠 중개이용료와 업주 부담 배달비를 차등 적용한다. 매출 기준 하위 65% 구간 업주의 경우 주문 금액과 상관없이 배달 영업 비용이 현재보다 감소한다. 특히 하위 20% 구간에 속하는 업주는 공공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수준의 중개이용료를 적용받는다. 만약 평균 주문금액인 2만5000원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하위 20% 구간 업주는 배달 한 건당 기존 대비 1950원, 20~50%는 750원, 50~65%는 550원의 비용 감소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차등수수료 구간은 이전 3개월 내 배민1플러스를 하루 이상 이용한 업주가 대상이며 일평균 배달 매출을 기준으로 해 산정할 예정이다. 각 구간 산정 기간 종료일 직전 1개월 이내 배민1플러스 이용을
[IE 생활정보] IBK기업은행에서 처음 거래하는 고객에게 심플한 우대 조건으로 고금리를 제공하는 비대면 전용 '처음 만나는 IBK적금'이 등장. 22일 기업은행에 따르면 이번 상품은 최고금리 연 7.0%(세전)의 1년제 자유적립식 상품. 월 적립한도는 최대 30만 원이며 선착순 3만 좌 한도로 i-ONE Bank(개인)에서 가입 가능. 기본금리는 연 3.0%로 우대금리 조건은 ▲기업은행 입출식 통장에서 적금으로 자동이체를 3회 이상 한 경우 연 2.0%포인트(p) ▲가입 시점 상품서비스 마케팅 문자 수신 동의 상태인 경우 연 2.0%p ▲기업은행 신용(체크)카드를 발급하고 결제계좌를 기업은행의 입출식 통장으로 지정한 경우 연 2.0%p로 구성. 세 가지 조건 중 두 가지 이상을 충족하면 우대금리 최대 연 4.0%p가 제공. 만약 우대금리를 더해 7.0%의 금리가 적용된다고 가정했을 경우 1년 동안 매달 30만 원씩 넣으면 받을 수 있는 이자는 얼마나 될까. 원금은 360만 원이며 세후 이자는 약 11만5479원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