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짤짤이 쏘옥 이자는 쓰윽" 쏠쏠한 동전 금융상품은?

우리나라 국민들은 집집마다 저금통을 적어도 하나씩 갖고 있는데요. 무언갈 사고 남은 잔돈을 하나둘씩 넣다 보면 어느새 두둑해진 저금통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은 금융상품처럼 이자는 기대할 수 없는데요. 

 

최근 금융권에서는 동전도 모으고 이자도 받을 수 있는 '일거양득'의 상품들을 볼 수 있습니다. 또 번거로운 상품을 지양할 뿐더러 1000원 단위 저축마저 부담인 세대들의 세태도 반영한 것이죠.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가장 눈길을 끌고 있는 상품은 카카오뱅크의 '저금통'입니다. 이달 10일 출시한 이 상품의 금리는 연 2% 고정금리입니다.  

 

저금통을 개설하고 동전 모으기를 선택하면 매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자정을 기준으로 카카오뱅크 입출금계좌 속 1000원 미만 잔돈이 저금통에 다음 날 오전 11시 입금됩니다. 단 저금통에 쌓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10만 원이라고 합니다. 실물 돼지 저금통에 동전을 가득 넣었을 때 들어갈 수 있는 최대 금액을 산정한 것이라고 하네요. 

재밌는 것은 실제 저금통처럼 저금통에 쌓인 금액을 확인할 수도 없다는 점인데요. 매달 5일 딱 한 번만 엿보기 기능을 통해 저축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쌓인 저축 금액에 따라 커피, 떡볶이, 놀이동산 자유이용권 등 이미지 변화가 이뤄져 대략적인 금액을 추정하게끔 실현했습니다. 예를 들어 4000~5000원이 모였을 경우 커피 이모티콘이 뜬다고 합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저금통은 신경 쓰지 않아도 누구나 쉽게, 자동으로 소액을 저축할 수 있는 편리성과 금액에 따라 변화하는 아이템을 확인하는 즐거움을 갖춘 상품"이라고 말했습니다.

 

웰컴저축은행의 '잔돈모아올림' 적금은 일반 입출금 계좌에서 1000원 이하 잔돈을 적금 계좌에 이체할 수 있는데요. 목표 금액은 최대 500만 원인데, 만기 때 원 단위를 만 원 단위로 올려서 준다고 합니다. 만기 금액이 99만1원이라면 100만 원으로 채워 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KDB산업은행의 '데일리플러스 자유적금'도 있는데요. 이 상품에 가입할 때 '체크카드 결제 자투리 저축 적립액'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후 1000원, 5000원, 1만 원으로 단위금액을 설정한 뒤 지정 체크카드로 결제하면 단위금액에서 결제금액을 뺀 금액이 적금통장에 입금되는데요.동전을 모으고 싶다면 1000원으로 단위금액을 정하면 되겠죠? 예를 들어 껌 500원짜리를  카드로 결제하면 500원에 적금되는 방식입니다. 

 

핀테크 금융업체 토스는 지난 4월 토스카드를 선보였는데요. 이 카드로 물건을 사면 1000원 미만 잔돈이 연동된 토스머니 계좌에 저축된다고 합니다. 본인의 선택에 따라 잔돈저축 기능을 간편하게 껐다가 끌 수도 있는 시스템이라 각광을 받았는데요. 다만 금융권 계좌가 아니기 때문에 이자는 없습니다. 

 

동전으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도 있습니다. 지난 9월 신한금융그룹에서 선보인 '소액투자서비스'는 신한카드의 카드 이용 내역을 연계해 자동으로 신한은행에서 판매하는 국내펀드에 투자할 수 있는데요.

이 서비스는 정액투자와 자투리투자로 나뉘는데 정액투자의 경우 '건당 투자금액 100원'을 약정한 이용자가 하루 두 번 카드를 썼다면 다음 날 200원이 펀드에 입금됩니다. 자투리투자의 경우 '1000원 미만 단위'로 설정한 이용자가 하루에 2700원을 카드로 결제했다면 익일 700원이 펀드에 입금되는 구조입니다. 

 

핀테크업체 티클도 카드 결제금액 중 1000원 미만의 잔돈을 일주일 동안 모아서 미래에셋대우의 종합자산관리계좌(CMA)에 넣어 주는 상품을 만들었는데요. CMA는 하루만 넣어도 금리가 붙습니다. 이 회사는 차차 다른 증권사나 은행과의 협업도 넓힐 계획이라네요.

 

이와 관련해 여신금융연구소 장명현 연구원은 "현재 해외에서 이 같은 서비스는 저축 및 투자를 할 여유가 없는 젊은 층을 대상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며 "국내 금융사들도 해외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참고해 국내 금융소비자의 수요를 충족할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