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재의 오늘 벌어졌던 '깜'빡 놓치고 지나칠 뻔한 이슈들과 엮인 다양한 '지'식들을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1.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안 표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탄핵소추안을 제출한 더불어민주당이 어제 국회 본회의 보고에 이어 오늘 오후 표결에 들어갈 예정. 국민의힘이 강하게 반발하는 가운데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대국민 성명을 통해 윤석열을 파면하고 옹위 세력을 뿌리 뽑아 내란을 완전 진압하는 그 순간까지 역량을 총결집해 역사적 책임을 완수하겠다고 역설. 또 '권한대행'은 '내란대행'으로 변신했다면서 국민과 함께 내란의 밤을 끝내 희망의 아침을 열겠다고 제언.
2. 모바일 주민등록증 시범 발급
행정안전부가 오늘부터 전 국민 신분증인 '모바일 주민등록증' 시범 발급 시작. 1968년 종이 재질의 최초 주민등록증에서 벗어난 56년 만에 디지털 방식으로 우선 세종시, 강원 홍천군, 경기 고양시, 울산 울주군, 전남 여수시 등 9개 지방자치단체 시범 발급. 최근 6개월 내 촬영 사진을 갖고 지역 내 주민센터를 찾아 'IC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아 휴대전화에 인식하거나 'QR 발급' 방법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 신청 가능.
3. IBK기업은행 사상 첫 총파업
IBK기업은행 노동조합이 오늘 사상 첫 총파업을 실시해 전국 모든 지점의 업무 마비 불가피. 오늘 하루 임금 인상 요구 총파업에 나서는 것으로 전체 조합원 9485명 중 8000명가량 참여 예상. 노조는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집결해 집회를 진행한 뒤 정부서울청사까지 가두행진을 한다는 계획으로 기업은행이 공공기관이라 동일 노동을 하는 시중은행보다 임금이 30% 정도 적은 것은 물론 시간외근무수당도 지급되지 않는다고 주장.
4. 유신 헌법 발효
위헌적 계엄, 국회해산 및 헌법정지 등이 골자인 박정희 특별선언을 발표한 1972년 10월 유신에 이어 비상조치 국민투표로 이뤄진 1972년 12월27일 제3공화국 헌법 개정을 근거 삼아 8대 대통령에 다시 박정희 취임. 이 헌법을 유신 헌법이라 하는데 이 체제에서는 대통령이 임기 자유권, 국회의원 및 법관 임명권, 긴급조치권 및 국회해산권 등을 모두 갖는 1인 종신 집권 가능.
5. 원자력의 날
매년 12월27일은 원자력의 날, 정식 명칭은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로 원자력 안전을 고취하는 동시에 국내 원자력 분야 종사자의 사기를 진작하고자 제정한 법정기념일. 2009년 12월27일 아랍에미리트 원전 수출 성공을 계기 삼아 2010년 제정.
/이슈에디코 김지윤 기자/